top of page

​연구 자료실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 고난의 현주소 (KCI급)

<한글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한국교회가 당하고 있는 고난의 원인과 의미를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올바로 조명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을 제시하는데 있다. 한국교회가 당하고 있는 고난의 실체를 바로 보기 위해서 먼저 성경이 가르치는 고난에...

시편의 문맥적 이해의 복음주의적 성경해석에의 기여 (KCI급)

<한글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70년대 이후에 유행하고 있는 시편의 문맥적 이해가 복음주의적 성경해석에 어떤 기여를 했는가를 파악하는데 있다. 먼저 본 연구에 있어서 선구적인 기여를 한 학자들을 살펴보았다. 그 중에 델리취, 브렌낸, 차일즈의...

잠언에 나타난 '마스킬'의 번역의 문제 (KCI급)

<한글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히브리어 ‘마스킬’를 위한 가장 적합한 한국어를 찾는 것이다. 이 연구는 잠언에 나오는 ‘마스킬’(히필, 분사, 절대형)의 번역에 좁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잠언에 전치사와 함께 나오는 두 곳(16:20;...

창세기 3장에 나타난 생명의 개념 (KCI급)

<한글초록> 창세기 1-2장에는 하나님께서 인간의 생명뿐만 아니라 동물과 식물의 생명과 모든 생태계의 생명을 창조하신 창조주로 계시하고 있다. 그런데 창세기 3장에는 인간의 타락으로 말미암아 인간과 동식물을 포함한 모든 생태계가 어떻게 생명을...

건 & 퍼웰의 『히브리 성경의 내러티브』

건과 퍼웰이 1993년에 출간한 『히브리 성경의 내러티브』는 성경 내러티브의 문학비평과 역사비평의 상호관계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책 중에 하나이다. 이들은 ‘이야기’(story)와 ‘내러티브’(narrative)를 구분하는데 이야기를...

포껄만의 『성경 내러티브 읽기: 서론적 지침서』

포껄만이 1975년에 낸 『창세기 속의 내러티브 예술』이란 책은 역사비평에서 취하는 통시적 분석과는 달리 구조주의 (structuralism) 방법론을 사용하여 공시적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구조주의 접근은 분문의 역사에 관심을 갖고 있지 않고...

진 스카의 『우리의 조상들이 우리에게 말씀하셨다』

스카의 『우리의 조상들이 우리에게 말씀하셨다』는 1990년도에 출간되었는데, 히브리 내러티브에 대해서 간결하면서도 핵심을 잘 정리한 책이다. 롱(B. O. Long)은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문학이론을 히브리 내러티브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바-에프랏의 『성경의 내러티브 예술』

이스라엘 학자인 바-에프랏이 『성경의 내러티브 예술』이라는 제목으로 1989년에 출간한 책은 내러티브의 각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잘 다루고 있다. 제1장은 해설자의 전지성(omniscience)에 대해서 다루고 있고, 해설자를 “공개적인...

롱맨의 『성경해석에 대한 문학적 접근들』

복음주의 진영의 구약학자 중에서 내러티브를 포함한 문학적 접근을 시도한 선구적인 글이 1987년도에 당시 웨스트민스터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교수였던 롱맨에 의해 집필되었다. 롱맨이 집필한 책은 “현시대...

스테른버그의 『히브리 내러티브의 시학』

1987년에 출판된 스테른버그의 『히브리 내러티브의 시학』(The Poetics of Biblical Narrative)은 성경 내러티브 연구에 또 다른 획을 그은 탁월한 저술이다. 그가 내러티브 연구를 시작한 것은 그보다 20여 년 전으로...

벌린의 『시학과 성경 내러티브의 해석』

올터의 책이 나온 지 2년 후에 벌린의 『시학과 성경 내러티브의 해석』(Poetics and Interpretation of Biblical Narrative; 1983)이라는 내러티브 연구서가 출간되었다. 먼저 벌린은 시학(poetics)의...

올터의 『성경 내러티브의 예술』

올터의 『성경 내러티브의 예술』(The Art of Biblical Narrative; 1981)은 히브리 내러티브 연구에 큰 획을 그은 저술이 되었다. 히브리어 성경에 정통한 학자일 뿐만 아니라 문학이론의 전문가인 올터는 성경의 탁월한 예술성을...

logo_transparent.png

에스라연구소 연락처

주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백석대학로1-6 (목양관 108호)

전화:  041-550-2078

이메일: profjkkim@gmail.com

  • Google+의 사회 아이콘
  • JKKim's Facebook
  • JKKim's Twitter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