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시편 제4-5권에 나타난 제왕시들의 전략적 배치(구약논집5_2009)

1970년대 이후로부터 시편 연구에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난 것은 시편 전체를 하나의 책으로 보고 이해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하여 시편의 전체적인 구조 속에서 시편이 어떻게 배열되었으며 개별 시들이 서로 간에 어떻게 연결이 되었는가를 연구하면서 시편 전체의 메시지를 이해하려고 힘쓰게 되었다. 특히 시편의 메시지를 이해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은 제왕시들이 전하는 메시지가 무엇인가를 파악함으로써 시편 전체의 메시지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게 되었다. 이 새로운 연구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한 Gerald Wilson이란 학자는 제왕시들의 전략적인 배치를 밝혀내게 된다. 그리하여 지금은 시편 2, 72, 89편과 같은 제왕시들이 시편 제1-3권의 초두나 끝부분에 전략적으로 배치된 것이 기정사실화 되었다. 그러나 그는 시편 제4-5권내에서 제왕시들의 전략적 배치에 대해서 밝혀내는데 실패하였다.  그리하여 윌슨의 연구는 제1-3권의 제왕시들의 전략적 배치에 머물게 되었고, 시편89편에 다윗 왕가의 멸망과 바벨론 유수로 말미암아 왕에 대한 소망은 사라지고, 오직 제4권이 전하는 메시지인 여호와 하나님께만 소망을 두라는 것이 시편의 메시지인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그 이후 시편 제4-5권내에서 제왕시 전체의 배열에 관하여서는 지금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몇몇 학자들이 제4-5권내의 개별 제왕시의 전략적 배치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나 총체적인 연구가 없었던 차에 이 논문에서 시도한 것은 제4-5권내에서 제왕시들(시편101, 110, 132, 그리고 144)을 조직하고 있는 원리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는 시편 제1-3권과 시편 제4-5권 사이의 편집 기교상의 차이를 전제하지만, 시편을 마지막으로 편집한 편집자는 시편 제4-5권의 하위 그룹 내에서 제왕시들을 배치하는데 있어서 유사한 배치 기술을 사용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시편 제4-5권에는 책 단위와는 별개로 6개의 하위 그룹들이 존재하고 있다.  시편 90-110, 시편 111-118, 시편 119, 시편 120-134, 시편 135-145, 그리고 시편 146-150 등 6개의 독립된 하위 그룹을 밝혔다. 이와 같이 그룹을 나눔으로써 발견한 중요한 사실은 하위 그룹들내에서 제왕시들이 끝이나 거의 끝부분에 배치된 사실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시편 제1-3권의 말미 부분과 유사한 배치 방식을 본받아, 제4-5권의 하위 그룹 내에서도 각 제왕시들의 종결부분에는 찬미시가 배치되어 있다. 시편 제4-5권내의 제왕시들의 전략적 배치를 밝힘으로써, 윌슨이 말한 것처럼 다윗 언약과 왕권이 절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오실 메시아에 대한 희망으로 계속 메시지가 흐름을 밝혀내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시편 전체를 종말론적(메시아 중심)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종말론적인 이해라고 함은 그리스도의 재림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구약에서 종말론은 특히 메시아의 초림과 관계된 것이다. 즉 시편 제4-5권내에서 제왕시들이 전략적으로 배치된 사실을 밝힘으로써, 시편 전체 속에서 제왕시가 갖는 메시지는 과거의 역사적 정황을 뛰어넘어 앞으로 나타날 메시아의 도래와 그의 사역에 대한 예언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신약의 저자들이 시편을 어떻게 메시아에게 적용하였는가를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되었다.



댓글 0개

コメント


bottom of page